노후준비이야기

연금수령액 계산 - 국민연금 + 퇴직연금 + 개인연금 (변액연금보험 + 연금저축보험 )

 

 

제택구 씨의 나이는 45세. 나이 마흔이 되어서 노후자금 준비의 필요성을 깨닫고 여유자금이 생기는 대로 열심히 연금에 투자했습니다.

 

step 1. 은퇴 시점 디자인

막내 자녀가 대학을 졸업하는 시점은 제택구 씨의 나이가 60세 되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제택구 씨는 60세로 은퇴 시점을 잡았습니다.

 

 

 

step 2. 기가입 연금의 적립금 계산

1. 제택구 씨는 40세 되던 해 처음으로 연동형 연금에 가입했습니다. 매달 40만원씩 7년 동안 투자하는 연금이었습니다. 제택구 씨가 7년 동안 납입한 연금보험료는 총 3,360만원(=40만원*7년)이지만 여기에 (연 5% 정도) 이자가 붙어서 47세의 예상 적립금은 3,640만원(=40만원*91배수)가 되고, 60세까지 연 5% 정도 이자가 붙는다면 적립금은 6,800만원(=3,640*189%)정도 될것입니다.

2. 44세부터 변액연금에 가입해서 매달 50만원씩 10년 동안 투자하고 있습니다. 제택구 씨가 10년 동안 납입하게 될 연금 보험료는 총 6천만원이지만 여기에 (연 7.2% 정도) 이자수익이 붙으면 54세의 예상 적립금은 7,300만원(=50만원*146배수)가 되고, 60세까지 연 5% 정도 이자가 붙는다면 적립금은 9,700만원(=7300만원*134%) 정도 될 것입니다.

3. 45세부터는 소득공제를 받는 연금저축에 매달 30만원씩 10년 납으로 가입했습니다. 매달 30만원씩 10년 동안 투자하면 모두 3600만원을 투자하게 되고, 여기에 연 5% 정도 이자가 붙어서 55세의 예상 적립금은 4,260만원(=30만원*142배수)가 되고, 60세까지 연 5% 정도 이자가 붙는다면 적립금은 5,400만원(=4,260만원*128%)정도 될 것입니다. 제택구 씨가 가입함 연금의 노후준비자금을 모두 합산하면 약 2억 2천만원(=6800만원 + 9700만원 + 5400만원)입니다.

 

 

잠깐 !!

은퇴 시점 적립금 구하는 방법

① 월납 보험료에 변액 또는 연동형 연금 상품의 기수표를 곱해서 납입 완료 시점의 적립금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월납 30만원, 10년 납의경우 연동형 연금의 기수표 142를 곱하면 적립금은 4260(=30만원*142배수)만원입니다.

② 은퇴 시점에서 납입 완료 시점을 빼면 거치 기간이 계산됩니다. 예를 들면 45세 10년 납으로 가입했다면 납입 완료 시점은 55세 이고, 은퇴 시점 60세에서 55세를 빼면 거치 기간은 5년입니다. 

 

치 기간의 일시납 이자율을 납입완료 시점의 적립금에 곱해서 은퇴 시점의 노후자금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5년 동안 (연 5% 수익률 가정 시) 이자율은 약 127%이므로 납입완료 시점의 4260만원에 곱하면 은퇴 시점의 노후자금은 약 5400만원(=4260만원*127%)입니다.

                                                                

 

step 3. 노후 준비자금 계산

연금으로 준비한 노후자금 2억 2천만원, 퇴직금 예상액 1억원이라면 제택구 씨의 노후자금은 모두 3억 2천만원입니다. 이 정도 금액을 변액적립펀드에 맡기고 매달 월세 받듯이 중도인출해서 연금으로 사용한다면 연 7% 가정 시 매달 160만원 정도의 노후자금을 평생토록 찾아 쓸 수 있습니다.

 

step 4. 국민연금 예상

국민연금 콜센터 1355번으로 전화를 걸면 정확한 국민연금 수령액 예상치를 알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택구 씨가 65세부터 매년 80만원의 국민연금을 받는다면 65세부터 평균수명 75세까지 약 1억원(=80*10년)의 국민연금을 받는 셈입니다.

 

 

step 5. 부족자금 계산

의식주 기본 생활비로 매달 80만원 정도 예상하고, 노후 활동비로 하루 4만원씩 120만원을 가정하고, 노후 건강 유지비용으로 매달 30만원 정도를 예상하면 매달 250만원의 노후자금이 필요합니다. 월세재테크 방식을 적용할 경우, 매달 250만원씩 월세처럼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5억원이 필요하므로 8천만원(=5억원-3억 2천만원-1억원)의 부족자금이 발생합니다. 은퇴시점까지 10년 동안 8천만원의 적립금을 준비하려면 매달 55만원씩 추가로 변액연금에 가입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