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으로 이전하시면서 전세자금을 몇 년 동안 복리로 된 예금상품을 고려 중인 것이네요. 우선 복리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이자나 수익률을 부리하는 방법에는 단리와 복리를 이해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단리는 원금에만 지속적으로 이자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복리는 원금에 이자가 발생을 하면 그 이자가 원금과 더해서 이자에도 이자가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100만원을 년 10% 단리 상품에 5년 동안 예금을 할 경우 매년 10만원씩 이자가 발생해서 5년 후에는 150만원이 되겠지요.
그러나 년 10% 복리 상품에 예금을 할 경우에는 1년 후에는 단리 상품과 동일하게 10만원의 이자가 발생하지만 이 10만원의 이자가 원금이랑 합해져서 2년 후에는 100만원이 아닌 110만원에 대해서 이자가 발생하게 되고 이 이자는 다시 원금과 합해지게 되어서 5년 후에는 150만원이 아닌 약 162만원이 됩니다.
만약 10년 동안 예치를 해 놓는다면 단리 상품은 200만원을 찾을 수 있게 되고 복리 상품은 약 259만원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단순하게 계산을 해 보아도 단리 상품보다는 복리 상품이 훨씬 효과적인 투자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복리의 효과는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이율이 높을수록 커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장기투자는 복리형 상품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좋겠지요.
그런데 아쉽게도 회원님께서 질문하신 은행의 예적금 상품은 대부분 단리형 상품입니다. 대신에 복리투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금융상품은 최근 2~3년 동안 큰 인기를 끌었던 주식형 펀드와 같은 투자형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주식에 투자를 하게 되면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원금 손해의 위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펀드와 같은 투자 상품에 투자를 할 때는 어떤 목적으로 쓸 돈인지, 언제까지 투자를 할 것인지를 정한 다음에 본인의 투자성향을 파악해서 투자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본인의 투자성향과 투자선호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1~2년 내외의 기간동안 돈을 모을 것이라면 안전한 은행의 적금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3년 이상 모아야 하는 돈이라면 일반주식형 적립식 펀드, 7년 이상 모아야 할 돈이라면 장기주택마련펀드/저축이나 일반주식형 적립식펀드 등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목돈을 투자하시기 위해서는 10회 이상 분할매수 방법으로 매수하시길 권해드리구요.
'금융상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대출을 착한대출로 갈아타기 - 환승론,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대출 (1) | 2013.05.22 |
---|---|
행복기금 바꿔드림론 - 대상 혜택 신청 자격 (0) | 2013.05.08 |
미국에 사는 시민권자도 삼성전자나 포항제철, 현대자동차와 같은 주식을 살수있을까요? (0) | 2010.12.02 |
국내외 주식형 펀드로만 4천만원 이상의 수익이 나면 금융소득종합과세의 과세 대상이 되는지요? (0) | 2010.12.02 |
[국민은행/기업은행 통장] CMA,MMF,MMDA등 제게 맡는 통장 추천해 주세요. (0) | 2010.11.08 |